본문 바로가기
의료/간호

혈액계의 구조

by KE0713 2021. 12. 17.
반응형

http://www.seehint.com/word.asp?no=11803

1. Plasma 혈장

  • 전혈의 55%
  • 체혈량 유지, 단백질 및 전해질 등 운반
  • 혈장 단백질: Albumin이 60%, 혈장 교질삼투압 유지

 

2. Red Blood Cell, RBC 적혈구

  • 전혈의 45% 미만
  • O2, CO2 운반, 산 염기 균형유지
  • 생성과정: Stem Cell 조혈모세포 - Normoblast 적아구 - reticulocyte 망상적혈구
  • 필요조건
  • Iron 철: 붉은 육류, 간, 과일, 시금치 등에 많이 함유, 부족하면 Iron deficiency anemia 철결핍성 빈혈 발생
  • Bit. B12: 위벽 세포에서 생성되는 intrinsic factor와 결합하여 장에서 흡수, 부족하면 숙적혈구(거대적아구, megaloblast) 발생
  • Intrinsic factor 내인성 인자: 위벽의 벽 세포에서 생성, 부족하면 Vit. B12 흡수 X 따라서 비경구투여로 공급 必
  • Folic acid 엽산: 녹색채소, 콩, 땅콩, 간, 과일 등에 많이 함유. 부족하면 Folate deficiency anemia 엽산 결핍성 빈혈 발생

 

3. White Blood Cell, WBC 백혈구

전혈의 0.1% 미만

Cell Function
granulocyte 과립구 neutrophil 호중구 외부물질의 첫 번째 방어
염증 초기 식균작용
과립 내용물 분해
eosinophil 호산구 알레르기 증상 완화시키는 효소 분비
기생충 감염 보호
basophil 호염기구 histamine, serotonin, heparin 함유
과민반응 시 과립 깨지면서 순환계로 유리
agranulocyte 무과립구 lymphocyte 림프구 T cell, B cell, NK cell
monocyte 단핵구 탐식, 혈관 생성 자국, 염증 부위에서 증식

 

4. Platelet 혈소판

adhesion 부착, secretion 분비, aggregation 응집

반응형

'의료 >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계 대상자의 일반적 간호  (0) 2021.11.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