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군2 예비군훈련 보상비는 어떻게? 동원훈련 입소시에는 입소여비와 식비, 퇴소시에 퇴소여비와 보상비를 지급받습니다. 동원훈련의 경우에는 이동거리에 따라 여비가 다르게 지급되고, 통합버스로 동원훈련 입 · 퇴소한 경우는 여비를 지급하지 않습니다. 일반 훈련 참가시에는 교통비가 지급되며 급식은 중식(1끼)가 지급됩니다. 또한 일일 6시간 이상 예비군훈련에 참가한 예비군에게 급식을 지원하며 급식지원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급식비를 정산하여 지급합니다. 단, 동원훈련의 경우에는 현역 장병 기준의 급식지원지침을 적용합니다. 예비군으로 동원되어 임무 수행 또는 훈련 중에 부상을 입은 경우에는 보상을 지원합니다. 육해공 각 군에서 치료비 및 휴업보상금의 지급여부를 결정합니다. 2021. 11. 23. 복무가 종료되면 병역의무가 끝나는 건가요? 대한민국의 병역 종류는 현역, 예비역, 보충역, 병역준비역, 전시근로역으로 5개입니다. 대한민국 남성들의 병역의무 이행과정을 살펴보면, 18세에 병역준비역으로 편성되며, 19세에 병역판정검사를 받습니다. 이후 현역이나 보충역으로 일정기간 복무를 마치면 예비군에 편성됩니다. 따라서 현역 복무를 마칠 때 소속부대 지휘관에게 신고하는 것을 전역신고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현역에서 예비역으로 병역의 역종이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현역 복무를 바쳤다고 해서 병역의 의무를 모두 마친 것이 아닙니다. 병역의 의무는 만 40세까지이며, 병사로 전역한 경우에는 전역 후 8년차까지 예비군으로 편성되어 복무합니다. (전역한 해는 0년차, 그 다음해부터 1년차입니다.) 18세 19세 20세 예비군편성 ~40세 병역 준비.. 2021. 9.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