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한민국의 병역 종류는 현역, 예비역, 보충역, 병역준비역, 전시근로역으로 5개입니다.
대한민국 남성들의 병역의무 이행과정을 살펴보면, 18세에 병역준비역으로 편성되며, 19세에 병역판정검사를 받습니다. 이후 현역이나 보충역으로 일정기간 복무를 마치면 예비군에 편성됩니다.
따라서 현역 복무를 마칠 때 소속부대 지휘관에게 신고하는 것을 전역신고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현역에서 예비역으로 병역의 역종이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현역 복무를 바쳤다고 해서 병역의 의무를 모두 마친 것이 아닙니다. 병역의 의무는 만 40세까지이며, 병사로 전역한 경우에는 전역 후 8년차까지 예비군으로 편성되어 복무합니다. (전역한 해는 0년차, 그 다음해부터 1년차입니다.)
18세 | 19세 | 20세 | 예비군편성 | ~40세 | |
병역 준비역(~35세) | 병역판정검사 | 1~3급 | 현역 | 병사는 전역 후 8년차까지 (이후 추가편성) |
|
4급 | 보충역 | ||||
5급 | 전시 근로역 |
반응형
'군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비군훈련 보상비는 어떻게? (0) | 2021.11.23 |
---|---|
부대 안에 민간인이 출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1.06.22 |
부대 안에서 사진 촬영 금지 대상은 무엇일까? (0) | 2021.06.22 |
자료교환체계란? (0) | 2021.06.22 |
SNS에 군 관련 자료나 부대 위치를 올려도 될까? (0) | 2021.06.22 |
댓글